나의 웹사이트가 실제로 얼마나 회사에 도움이 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중차대합니다. 그러므로 나의 웹사이트의 퍼포먼스와 효율을 트랙킹 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웹사이트의 궁극적인 목적과 필요성을 정의하는 것과 결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웹사이트는 어떤 목표를 설정해야 할까요? 각 웹사이트마다 목적과 성격이 다르듯, 각 웹사이트마다 설정해야 하는 목표가 다릅니다.
웹사이트에게 적합한 목표 설정을 하고 지속적인 팔로업을 통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유용한 무료툴은 구글 애널리틱스인데요,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여러분께서 웹사이트에 쏟은 노력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지 혹은 목표한 바와 상응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목차
2.1. 도착 목표 (Destination Goals)
2.2.2. 세션당 페이지 수 목표 (Page/Visit Goals)
1.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목표 설정 기능은 방문자가 어떻게 나의 웹사이트와 상호작용하는지를 더욱 상세하게 트랙킹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목표로 삼을 만한 방문자와 나의 웹사이트 간의 상호작용(user interaction)은 뉴스레터 구독, 상품 구매, 문의 제출 등 여러분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여러분이 컨버전으로 동의할 수 있는 아무 액션(action)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한 사용자가 여러분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여러분이 목표로 삼은 특정한 액션을 취한다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이를 전환(conversion)으로 기록할 것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설정을 통해 여러분의 웹사이트가 회사가 웹사이트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혹은 사용자들에게 혼란만 주는 필요성을 잃어버린 웹사이트가 아닌지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2.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유형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목표 유형에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 Destination 도착
- Event 이벤트
- Duration 시간
- Page/Visit per session 세션 당 페이지수/조회 화면수
이를 더 간략하게, Duration(시간)과 Page/visit per session(세션 당 페이지수/조회 화면수)를 Engagement(몰입)라는 한 가지 그룹으로 결합하여 총 3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겠습니다.
2.1. 도착 목표
목표 설명: Destination Goals 또는 URL Destination Goals라고도 불리는 도착 목표는 말 그대로 특정한 URL를 트랙킹 하는 목표입니다. 만약 내가 이커머스 웹사이트 운영자이고, 사용자가 구매를 완료했을 경우 보이는 “구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페이지의 URL를 목표로 설정해놓았다면 사용자가 그 페이지를 도달할 때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목표 달성 및 컨버전으로 기록합니다.

도착(Destination) 목표 세부정보 설정 페이지
설정 방법: 도착 목표는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로그인한 후 관리 > 목표 > +새 목표에서 목표 유형 중 ‘도착’을 클릭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유의점: 도착 목표를 설정할 때, 목표로 간주될 특정 URL를 목표 세부정보에 입력하면됩니다. 이때의 유의점은, URL 전체가 아닌 도메인 다음에 오는 부분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URL 전체가 https://www.twinword.co.kr/seo-guidebook-by-twinword/ 이라면 /seo-guidebook-by-twinword/만 입력하셔야합니다.
2.2. 몰입 목표
몰입 목표는 말그대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얼마나 몰입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머무는 시간과(Duration) 방문 당 얼마나 많은 페이지를 방문하는지(Page/Visit)를 트랙킹하는 목표를 뜻합니다.
2.2.1. 시간 목표
목표 설명: 먼저 시간(Duration) 목표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해놓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의 웹사이트 평균 체류 시간이 2분이라고 가정했을 때, 체류 시간이 3분을 넘는 사용자들을 나의 브랜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고 간주하고 이러한 사람이 몇명이나 되는지 알아보고 싶다면 목표 세부정보에 3분을 입력하면됩니다. 그렇게 목표를 설정하게된다면 구글 애널리틱스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한 후 체류시간이 3분이 넘어간다면 이를 목표 달성 및 컨버전으로 기록합니다.

시간(Duration) 목표 세부정보 설정 페이지
설정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로그인한 후 관리 > 목표 > +새 목표에서 목표 유형 중 ‘시간’을 클릭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2.2.2. 세션 당 페이지 수 목표
목표 설명: 다음으로 세션 당 방문 페이지 수(Page/Visit per session) 목표는 사용자가 나의 웹사이트를 나가기전까지 웹사이트에서 몇개의 페이지를 방문하느냐를 트랙킹하는 목표입니다. 위의 시간 목표와 마찬가지로 나의 웹사이트 평균 방문 당 페이지 수가 1이라고 가정했을 때, 방문 당 2개의 페이지는 방문해야 그래도 나의 브랜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다라고 동의한다면 목표 세부정보에 기준점을 2로 설정해놓으시면 됩니다.

세션 당 페이지 수(Page/Visit per session) 목표 세부정보 설정 페이지
설정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로그인한 후 관리 > 목표 > +새 목표에서 목표 유형 중 ‘세션당 페이지수/조회화면수’를 클릭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팁: 몰입 목표의 기준점을 어떻게 설정할지 막막하신 경우에는 간단한 시장조사와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미 사용하고 있다면,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이미 얻은 데이터를 통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를 확인해보니 나의 웹사이트의 평균 체류시간은 3분이고, 시장 조사도 해보니 통계에 따르면 내가 종사하는 산업의 웹사이트의 평균 체류 시간이 4분이라고 했을때, 중점(中點)인 3.5분을 목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혹은 3.5분과 4분 둘다 목표로 설정하여 결과에 따라 나의 웹사이트에 더 적합한 목표를 채택하는것도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2.3. 이벤트 목표
이벤트(Event) 목표는 동영상 재생, 소셜미디어 공유 등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취하는 액션을 트랙킹하는 목표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이벤트의 예로는 다운로드, 소셜미디어 공유 버튼, 미디어 재생 등으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소든 이벤트로 등록할 수 있고 이벤트 목표 설정을 통해 트랙킹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Event) 목표 세부정보 설정 페이지
설정 방법: 다른 목표들과는 다르게 이벤트 목표 설정은 다소 복잡합니다. 목표 설정 전에 구글 애널리틱스에 이벤트를 설정해놔야 하고,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이벤트를 트랙킹 하기 위해서는 구글 태그 매니저를 이용해 태그를 적용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이벤트 목표 설정에 앞서, 복잡하게만 들리는 이벤트 트랙킹 설정을 개발자의 도움 없이 구글 태그 관리자를 활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4. 스마트 목표
사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목표 유형 중에는 스마트 목표라는 또 한 가지에 목표가 있습니다. 이는 구글 애즈를 이용하여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 경우에만 설정이 가능한 목표이며, 이커머스 웹사이트의 “구매” 처럼 따로 확실한 전환값이 없는 광고주를 위해 디자인된 목표입니다.
목표 설명: 구글에 따르면 스마트 목표는 구글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웹사이트 세션과 관련된 수십 개의 시그널(체류 시간, 방문 당 페이지 수, 지역, 디바이스 종류, 브라우저 종류 등)을 분석하여 전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큰(상위 5%) 세션을 찾아 그 세션을 전환으로 간주하는 목표입니다.
설정 방법: 스마트 목표는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구글 애즈 계정을 연동하고 관리 > 목표 > +새 목표에서 스마트 목표를 클릭하여 설정하시면 됩니다.
3. 구글 애널리틱스 목푯값이란?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를 설정하다가 목표 세부 정보에서 ‘값’이라는 선택사항이 보입니다. 여기서 ‘값’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목표 설정을 할 때, 선택사항 중 하나로 목표 달성 때마다 기록되는 컨버전에 금전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Value라고도 알려진 ‘값’이라는 옵션이 주어집니다. 목표의 특정 목푯값을 설정했다면,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이 금액이 기록되고, 축적된 총합 금액을 목푯 값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푯값으로 설정할 정확한 수치를 고를 때 도움이 되는 한 가지 방법은 목표를 달성한 사용자가 고객이 되는 빈도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웹사이트에서 뉴스레터 구독을 할 수 있는 CTA가 있고, 뉴스레터 구독을 하나의 목표로 설정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여러분의 영업팀이 웹사이트를 통해 뉴스레터를 구독한 사용자의 10%를 실제 고객으로 전환할 수 있고, 평균 거래액이 500달러라고 한다면 뉴스레터 목표의 목푯값은 50달러(즉, 500달러의 10%)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뉴스레터 구독자의 1%만이 실제 고객으로 전환이 된다면 목푯값은 5달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가 무엇인지, 목표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지, 또한 설정 방법은 무엇이며 설정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를 조금이나마 도왔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하세요!